2023년 긴급복지지원제도 지원금액 및 신청방법 총정리

2023 02 13 17 42 58

때때로 사람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안좋은 상황이 생기곤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까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기 마련인데요.

예전에는 주변 사람들에게 돈을 빌리는 것이 쉬웠지만 지금은 시대가 바뀌었고 부탁보다 더 어렵다고 합니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생계가 어려운분들에게 긴급복지지원제도를 마련하여 실시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긴급복지지원제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긴급복지지원제도란?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으로 생계가 어려운 저소득층에게 생계, 의료, 주거지원 등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하여 위기상황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제도

긴급복지지원제도 신청방법

시/군/구청,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보건복지상담센터를 통해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상담 및 지원 요청

긴급복지지원제도 지원금액

  • 생계비 : 4인 기준 162만원
  • 의료비 : 300만원 이내
  • 주거비 : 대도시 4인 기준 66만 2천원
  • 복지시설 이용비 : 4인 기준 149만원
  • 교육비 : 초등학생 12만 7천원, 중학생 18만원, 고등학생 21만 4천원(수업료, 입학금 명목 분기별 적용)
  • 지원 동절기 연료비 : 11만원, 해산비 7만원, 장제비 8만원

소득기준

2023 02 13 17 32 25
소득기준

중위소득 75%이하, 일반재산 특정 기준 이하

(대도시 2.41억, 중소도시 1.52억, 농어촌 1.3억 이하), 금융재산 600만원 이하

지원대상

  • 주 소득자의 사망, 가출, 행방불명 등으로 가구 생계가 곤란한 경우
  • 실직, 휴폐업 등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경우
  • 화재 등으로 인하여 거주하는 주택 또는 건물에서 생활하기 곤란하게 된 경우
  • 가구 구성원으로부터 방임, 유기되거나 학대를 당한 경우
  • 휴업, 폐업 또는 사업장의 화재 등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영업이 곤란하게 된 경우
  • 가정폭력 또는 성폭력을 당한 경우
  •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경우

지금까지 긴급복지지원제도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긴급복지지원제도는 신속하게 결정되어 지원이 이루어지는데요.

기존의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 선정과 같이 길고 어려운 절차를 거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긴급복지지원제도 지원세대라도 소득 및 재산 상태등으로 지원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환수조치 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지원하는 것이 국가 정책인 만큼 이를 알고 신청하면 좋겠습니다.